index.html을 바라보고 div root가 있다
그리고 그 안의 App.js를 연결해주는 것은 Index.js이다
프롭스는 프로퍼티스
성효진님 투두 인것 같은데
const App() {}을 쓰는 것 함수형 프로그래밍
구조분해할당 destructuring {}안에 키값 넣어준다.
태그 안에 들어간 것들은 칠드런
구조분해 할당한 애들은 중괄호 안에 넣어서 써야한다.
<> </>빈태그로 감싸주면 div 넣지 않아도 안에 자유롭게 추가 할 수 있다
리액트는 사용자가 만들어 놓은 jsx 코드를 렌더링을 한다.
state와 props의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렌더링
props로
폼태그 안에 버튼이 있으면 버튼을 클릭하면 submit이 자동을 되어서 onsubmit이 호출이 된다.
회원가입 폼같을 것을 제공하는 것이 폼태그이다
<폼> 라벨-인풋-버튼 </폼>
\ㅡㅡㅡㅡㅡㅡ/
onSubmit
todo.trim() 앞뒤의 공백 제거
setState는 이전 값을 인자로 가진다
setState((현재값)=>{
return
}
이벤트는 언제 나타나는지
이벤트는 객체다.
어떤 값으로 바꼈는지 속성으로 가지고 있다.
setStatue((prev) => {
}
title이 빈값이 아니면
if (title)
title이 빈값이면
if(!title)
return 없으면 조건에 상관없이 함수가 계속된다.
포커스 옮겨주기
testFunc vs testFunc()
함수를 호출해서 리턴한 값이 들어온것 vs 그냥 함수가 들어간 것
filter는 여러 개 중 골라낸 값만 반환하고
map은 undefined라도 넣은 개수만큼 값을 반환한다.
jsx문법에는 style 안에 객체를 넣어줘라고 요구
중괄호 두개 되는 경우가 있다.
'개발자 되는 중 >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특강 (0) | 2022.12.14 |
---|---|
DOM 특강 (0) | 2022.12.14 |
후발대 강의- 배열의 메소드 (0) | 2022.12.05 |
후발대 강의 - 배열 (0) | 2022.12.05 |
얄팍한 코딩 HTML 개발일지 (0) | 2022.10.27 |